[그림으로 배우는 알고리즘] 1. 알고리즘이란
알고리즘이란
문제 해결을 위한 처리 절차
알고리즘은 정당성(주어진 과제에 대해 올바른 결과를 반환해야 한다.) 과
정지성(언젠가 반드시 정지해야 한다)이 있어야 한다.
알고리즘의 종류
1. 기술 계산
2. 정렬(sort) :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알고리즘
3. 검색(search) :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내기 위한 알고리즘
4. 문자열 패턴 매칭
변수와 배열
알고리즘은 데이터의 형태로 입력되고 데이터의 형태로 출력된다.
데이터 : 다양한 정보를 표현한 것
알고리즘도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한다.
모든 데이터에는 타입이 있다.
1. 정수(int) 타입
2. 실수(float) 타입
3. 문자(char) 타입
4. 문자열(string) 타입
5. 논리(boolean) 타입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은 '값'이다.
알고리즘에서 값을 표현할 때는 숫자나 기호로 표기한다.
문자는 ''(작은따옴표), 문자열은 ""(큰따옴표)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변수'라고 한다.
변수에 데이터(값)를 넣는 작업을 '대입'이라고 한다.
변수에는 반드시 변수명을 붙여야 한다.
변수명은 반드시 고유해야 하고, 숫자만 사용한 변수명, 숫자로 시작하는 변수명은 사용할 수 없다.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는 ← 또는 = 를 사용해 왼쪽애 변수 이름, 오른쪽엔 값을 적는다.
ex. 변수명 ← 값 or 변수명 = 값
동일한 데이터 타입이 연속되면 배열이다.
배열에 담을 데이터들은 같은 타입이어야 한다.
배열의 특정 요소에 접근할 때, 배열명[요소 번호]
2차원 배열에 접근 할 때, 배열명[행 요소 번호][열 요소 번호]
행과 열이 교차점이 원하는 배열 요소의 위치이다.
책 - 그림으로 배우는 알고리즘 Basic 공부하면서 정리했습니다.